황반변성
백내장
녹내장
안구건조증
VDT증후군
렌즈
라식&라섹
안경&선글라스

눈질환 및 시력교정 백내장
1.백내장이란?
백내장은 40세 이상에서 시력 손상의 가장 흔한 질병입니다. 눈의 검은자와 홍채 뒤에는 투명한 안구 조직인 수정체가 존재하여 눈의 주된 굴절기관으로 작용합니다. 눈으로 들어온 빛은 수정체를 통과하면서 굴절되어 망막에 상을 맺게 되는데, 백내장은 이러한 수정체가 혼탁해져 빛을 제대로 통과시키지 못하게 되면서 안개가 낀 것처럼 시야가 뿌옇게 보이게 되는 질환을 말합니다.

*백내장 수술 후 황반변성증에 걸릴 확률200% 백내장 환자는 황반변성증에 걸릴 위험도가 큽니다. 중증의 백내장 환자는 황반변성증이 발병할 확률이 50% 증가하고, 가벼운 백내장 환자는 80% 증가한다는 데이터도 있습니다. 또한 백내장 수술을 한 경험이 있는 사람은 황반변성증에 걸릴 확률이 무려 200% 증가한다는 보고도 있는데, 그 이유는 수정체를 제거한 후의 망막은 급격하게 노화되기 쉽기 때문입니다.
2.백내장 증상
백내장 초기에는 약간 답답한 느낌 정도만 있다가 차차 시력이 떨어지게 됩니다.
또한 야간 운전 시 헤드라이트가 예전보다 더욱 눈부시게 보일 수 있습니다.
수정체 혼탁의 위치와 정도, 범위에 따라 다양한 정도의 시력 감소가 나타납니다. 부분적인 혼탁이 있을 경우에는 단안복시(한쪽 눈으로 봐도 사물이 두 개로 겹쳐 보이는 증상)가 나타날 수 있으며, 수정체 핵(수정체의 중심부)의 경화(딱딱해짐)로 수정체의 굴절률이 증가하면 근시 상태가 되므로 근거리가 이전보다 잘 보이게 될 수 있습니다. 즉, 나이가 들면서 노안이 와서 잘 안 보이던 신문이 갑자기 잘 보이게 되었다면 눈이 좋아졌다고 생각할 것이 아니라 백내장으로 인한 증상으로 생각해야합니다.
3.백내장 원인
우리가 나이가 들게 되면, 단백질은 서로 덩어리를 이루어 수정체의 작은 부분에서 혼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이것이 백내장이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더욱 커지고 수정체의 더 넓은 부위에서 혼탁을 일으키며 시각에 장애를 일으킵니다.
여러 연구에서 자외선 노출과 백내장 발병이 연관이 깊다는 것이 밝혀졌으므로 안과전문의는 선글라스와 자외선 노출을 줄일 수 있는 넓은 모자를 착용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방사선 또한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2005년 아이슬란드에서 실시한 연구에서 우주 방사선에 노출될 확률이 높은 항공 조종사가 조종사 아닌 사람에 비해 백내장 발병의 위험이 높다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다른 연구에서는 당뇨병 환자가 백내장의 발병 위험이 높다는 결과를 제시하였습니다.
이는 스테로이드, 이뇨제 및 주요 진정제 복용자에게도 적용됩니다. 기타 위험 요인으로는 담배 연기, 고염도의 식이, 대기 오염과 과음 등을 들 수 있습니다.
4.백내장의 치료
약물치료만으로는 혼탁이 발생한 수정체가 다시 맑아지지 않습니다.
백내장 진행을 더디게 해주는 안약들의 경우 큰 부작용은 없지만 그 효과는 아직 확실하지 않습니다.
백내장으로 인해 일상생활에 불편을 겪을 경우 수술을 하게 됩니다. 수술은 초음파로 혼탁이 생긴 수정체의 내용물을 제거한 후 개개인의 시력 도수에 맞는 인공수정체를 삽입해 주는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인공수정체는 영구적이며, 특별한 합병증이 없는 한 제거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