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테인
지아잔틴
오메가3
안토시아닌
아스타잔틴
플렉시드오일
비타민A
비타민C
비타민E
아연

눈에 좋은 영양소 오메가3
오메가3와 눈

오메가3 지방산과 유아기의 시력발달
하버드 대학교 연구저널 소아과에 발표된 여러 연구 분석에 따르면 DHA 보충제를 충분히 먹인 그룹이 먹이지 않은 그룹보다 더 좋은 시력을 갖게 되었다고 발표되었습니다.
또한 임산부에게 DHA와 오메가3 지방산의 적절한 섭취는 유아기의 시력발달에 중요합니다.
미국 임상영양학 잡지에 발표된 연구에서는 4개월부터 DHA 보충제를 받은 임산부그룹의 유아들이 보충제를 먹지 않은 그룹의 유아보다 시력이 높게 나타났습니다.


오메가3 지방산과 성인의 눈영양
몇몇 연구들은 오메가3 지방산은 황반 변성과 안구건조증으로부터 눈을 보호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필수 지방산은 높은 눈의 압력과 녹내장의 위험을 줄일 수도 있습니다.
2008년에 발행된 유럽 연구에서는 등푸른 생선을 일주일에 한번 이상 먹은 집단이 안먹은 집단에 비해 황반 변성 발생의 위험이 절반가량 낮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안과질환연구회로부터 얻은 연구결과 12년 동안 식단에 오메가3 지방산을 꾸준히 섭취했을 때 또래보다 황반변성의 발생이 30% 적게 나타났습니다.
그리고 오메가3 지방산은 안구건조증의 발생 위험을 줄여줍니다.
45~84세의 32,000 여성들의 식사 시 오메가3 지방산과 오메가6지방산의 비율이 15:1일 때 안구건조증의 발생도가 적고 4:1때 건조한 눈에 대한 위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일주일에 참치 두 개 이상 섭취한 여성은 섭취하지 않은 여성보다 눈이 건조할 위험이 적게 나타났습니다.
오메가3란?
구분 내용 비고
특 성 두뇌, 망막의 구성성분  
기 능 혈행개선, 혈중 중성지질 개선에 도움 - 관상동맥질환, 심혈관계질환 필수지방산 보충  
작용기전 EPA - 혈행개선, 콜레스테롤 개선
DHA - 두뇌, 망막의 구성성분
 
1일섭취량 500mg ~ 2,000mg  
급 원 연어, 고등어, 청어 아마씨기름 생선기름, 호두 등  
기 타    
1) 특성
DHA(Docosahexaenoic acid)와 EPA(Eicosapentaenic acid)는 각각 20개와 22개의 탄소, 5개와 6개의 이중결합을 가지고 있으며 ω쪽으로부터 3번째의 메틸기에 처음으로 이중결합을 가지고 있는 오메가-3 계열의 불포화지방산입니다.
EPA는 α-linolenic acid(18:3 ω-3)로부터 사슬연장과 2회의 탈포화 과정을 거쳐 생성되며, DHA는 EPA로부터 사슬연장과 탈포화 과정을 거쳐 생성됩니다. α-Linolenic acid는 linoleic acid(18:2 ω-6)로부터 합성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포유동물에서는 EPA와 DHA의 전구체가 되는 α-linolenic acid와 linoleic acid가 체내에서 합성이 되지 않아 외부로부터 섭취해야 하기 때문에 필수지방산으로 간주되고 있습니다. 즉, EPA 및 DHA가 함유된 식품을 먹지 않는 경우 ω-3 지방산인 α-linolenic acid를 섭취해야 체내에서 EPA 및 DHA가 만들어집니다. 그러나, 성인에서 α-linolenic acid가 EPA 및 DHA로 전환되는 효율은 약 10~15%, 어린이는 3~6% 정도로 매우 낮기 때문에(Yamada 등, 1999) EPA와 DHA의 효능을 기대하기 위해서는 α-linolenic acid를 함유한 식품보다는 DHA와 EPA를 많이 함유하고 있는 식품을 직접 섭취하는 것이 효과적이라 할 수 있습니다(Holub 등, 2002: 김종국 등, 1998). 건강기능식품의 오메가-3 지방산 함유 유지는 식용 어류, 바닷물범, 조류(藻類)를 원재료로 하여 가열, 압착, 헥산, 이산화탄소(초임계추출)를 이용하여 추출하고 여과하여 식용에 적합하도록 한 것으로 정하고 있습니다. 실제 제품 제조는 위와 같은 방법으로 추출한 후 탈검, 탈산, 탈색, 탈취 등의 과정을 거쳐 만들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각 원재료에 따라 식용 어류 유래 원료는 EPA와 DHA의 합을 18% 이상, 바닷물범 유래 원료는 12% 이상, 조류 유래 원료는 30% 이상으로 관리하고 있는데, EPA와 DHA의 함량을 높이기 위한 에스테르화 공정을 거치지 않을 경우에는 식용 어류 유래 원료에서는 18~45%, 바닷물범 유래 원료에서는 12~18%, 조류 유래 원료에서는 30~50% 정도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2) 기능
여러 역학연구들에 의하면, 규칙적으로 생선을 섭취하는 사람들은 관상동맥심장질환(CHD)으로 사망할 확률이 섭취하지 않는 사람들보다 훨씬 더 낮다고 합니다.
오메가-3 지방산이 관상동맥질환, 혈액의 흐름과 관련이 있다는 연구는 덴마크 연구자들에 의해 1970년대부터 알려지기 시작하였습니다(Bang 등, 1980). 이 연구자들은 그린랜드 에스키모들이 덴마크인보다 급성 심근경색 발생이 적음을 밝혀내고, 이것이 오메가-3 지방산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습니다. 이 연구결과는 생선의 섭취가 높은 일본인들이 관상동맥질환의 발생이 낮다는 통계 결과와도 일치합니다(Kagawa 등, 1982). 미국 역학조사 3건의 결과도 이러한 연구결과를 뒷받침합니다. Siscovick 등(1995)은 초기 심장마비(primary cardiac arrest)를 겪은 80명의 성인에게서 혈액을 채취하여 108명의 건강한 성인과 비교한 결과, 적혈구 막의 EPA와 DHA의 함량과 초기 심장마비(primary cardiac arrest)와 관련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Albert 등(2002)은 14,916명의 건강한 남자 의사들의 혈액 샘플을 분석하여 위험인자를 확인한 후, 17년 후 심장질환으로 사망한 94명의 오메가-3 지방산 함량이 낮았음을 확인하였습니다. 이 외에도 Lemaitre 등(2002)은 혈중의 EPA와 DHA의 함량이 치명적인 허혈성 심장질환과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습니다. 대부분의 오메가-3 지방산의 무작위배정 대조군 실험은 관상동맥질환을 직접적인 endpoint로 설정한 연구들입니다. 대표적인 연구가 DART(Diet And Reinfarction Trial; Burr 등, 1989)인데, 이 연구에 의하면 하루에 500~800 mg의 오메가-3 지방산을 섭취하는 것이 심근 경색에서의 생존율을 높임을 확인하였습니다. 이 외에도 GISSI-prevention study(1999)에서는 300 mg의 Vitamin E와 850 mg의 오메가-3 지방산의 섭취는 심장마비로 인한 사망률을 감소시킴을 확인하였습니다.
오메가-3 지방산들의 이러한 기능성은 항혈전 효과에 의한 것으로 여겨지나 혈전의 응집을 저해하는 효과에 대해서는 일관성이 떨어지는 결과가 보고되고 있습니다. 높은 농도에서는 일관적으로 혈전 저해 기능성을 보여주나 낮은 농도에서는 그렇지 않은 결과를 보여주기도 합니다.
(Kris-Etherton 등, 2002). 연어 기름을 섭취하면 EPA가 혈소판의 인지질로 통합되는 것이 유도되며, 그에 따라 출혈 시간을 연장시켜 준다(Goodnight 등, 1981)는 보고가 있었습니다. 이것은 생선 기름이 혈관의 반응성을 변화시키고, 동맥벽의 특성을 좋은 방향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는 보고로서 증명(McVeigh 등, 1994)되었고, 이러한 변화들은 건강한 혈액의 흐름을 유지하도록 도와줄 수 있습니다.
이외에 오메가-3 지방산의 섭취는 농도 의존적으로 혈중 중성지방을 조절한다는 결과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청 연구(2005)에서도 하루에 1.2 g씩 DHA와 EPA를 섭취한 결과, 콜레스테롤이 아닌 중성지방이 조절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DHA와 EPA를 1~1.5 g 섭취하는 것은 혈중 중성지방을 25~30% 감소시킨다는 보고도 있습니다(Harris, 1997). 이처럼 여러 대규모의 역학조사에서 오메가-3 지방산의 섭취는 관상동맥질환의 발생과 관련이 있음을 입증하였으나, 이는 일반 식사로 섭취하는 경우와 보충제로 섭취하는 경우를 모두 포함하고 있습니다.

3) 1일섭취량
혈액의 흐름을 개선하고 혈중중성지방을 조절하는 섭취량을 결정하기 위해 여러 문헌들을 검토한 결과 DART study와 Kris-Etherton 등(2002)의 결과를 참고하여, 최소 섭취량은 500 mg으로 설정하였습니다. 건강기능식품에서의 DHA와 EPA의 적정 섭취량은 미국 FDA에서 제한하는 3 g 이하의 섭취를 고려하고 식이로부터 오메가-3를 섭취할 수 있는 점을 고려하여 하루 0.5~2 g 으로 섭취를 제안합니다.

4) 급원
오메가3 지방산의 최고의 식품은 DHA와 EPA가 풍부한 정어리, 청어, 연어와 참치 등이 있습니다.
그밖에 다른 급원 식품은 아마씨기름, 호두와 짙은 녹색 잎이 많은 채소에 함유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DHA와 EPA는 생선의 오메가3만큼 충분하지는 않습니다.
오메가3 함유식품
식 품 사용량 함유량(g)
연어 Atlantic 구이, 등심 이분의 일 3.89
고등어 1등심 구이 3.25
정어리 기름 1큰술 2.83
연어 Chinook 하프등심구이 2.68
대구 간유 1큰술 2.43
연어, pink 반 등심 구이 1.60
청어 오일 1큰술 1.43
통조림 정어리 약 3온스 0.90
통조림 참치 약 3온수 0.73
Source : National Agriculture Library, U.S.Dept.lf Agriculture
*안전성평가*
오메가-3 지방산은 오랫동안 안전하게 섭취하여 온 식품이지만, FDA에서는 1997년 생선유 유래의 오메가-3 지방산을 하루 3 g 이상은 섭취하지 않도록 권장하고 있습니다. 비록 심각한 독성이 아니라 하더라도, 이들 유지는 많은 지용성 비타민을 함유하고 있어 조심하여야 합니다. 하지만, 오메가-3 지방산에 대한 용량-반응 효과는 명확하지 않습니다. 에스키모의 경우 하루에 6.5 g의 오메가-3 지방산을 섭취해도 특별한 부작용이 관찰되지 않았으며, DHA와 EPA를 하루 3 g 섭취하는 경우 위장관계의 부작용을 제외하고는 특별한 부작용이 보고된 바는 없습니다(Leaf 등, 1994).